최근 중국이 스마트 시티(Smart City) 건설을 시작했다. 스마트 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도시의 주요 시설과 공공기능을 묶은 도시를 의미한다. 에너지, 교통, 상하수도 같은 사회 기반 시설이나 교육 ․ 의료 등 소프트 인프라까지 자동화되면서 개인의 업무와 생활이 크게 변화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수요 예측에 따른 전력 공급을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로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현재 중국정부는 2015년까지 320여개 도시를 스마트 시티로 바꾸기 위해 총 3천억 위안(약 51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작년 12월 중국 주건부(主建部)에서는 베이징, 상하이 등의 1선 도시는 물론, 난징, 우한, 청두 등의 2~3선도시를 포함하는 90여개 도시를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했다. 그 중 60여개 도시에서는 이미 지능형 교통, 지능형 건축, 전자행정, 디지털 의료 등과 스마트 시티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2015년까지 320개 스마트 시티 건설

중국 스마트 시티 건설시장은 매년 20%가 넘는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환경, 교육, 교통 등 관련 분야의 ICT 제품 및 서비스 수요까지 포함하면 전체 산업 규모가 2조 위안(약 373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스마트 시티 시장은 우리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화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지닌 국내 ICT 업체에게 잠재성이 큰 수출 시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인구밀도가 낮은 미국이나 유럽의 기술은 중국 도시 환경에 바로 적용하기 힘든 점이 있기 때문에, 국내 업체의 ICT 기술이 중국 현지에서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다는 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국내 중소기업이 중국 스마트 시티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중 하나는 ICT 하드웨어 제품 수출에 집중하는 것이다. 국내 기업이 상대적 경쟁우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시장에 빠르게 진입, 인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켜 점차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다.

스마트시티 주사업자와 파트너십 구축해야

중국 스마트 시티 시장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티 건설의 사업권을 가진 현지 주사업자와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 시티 건설의 투자주체와 운영모드의 다원화를 위해 중국 정부는 중국이동통신, 중국전신 등의 통신사업자나 Taiji, Digital China 등의 IT벤더들을 주사업자로 선정한다. 국내 중소기업은 이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해 신뢰성 있는 채널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적 수출시장을 확보할 수 있을 있다. 또 대정부 관리, 기술인증 등의 시장 진입장벽 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제로 올해 7월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을 가진 국내 업체는 중국 9개 지방의 스마트 시티 건설 사업권을 지닌 현지 SI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내년 하반기에 사업을 본격화할 준비를 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과 현지 주사업자의 성공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서는 우리 정부와 개별 기업이 모두 노력해야 한다. 정부는 우선 국내 중소기업과 중국 주사업자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회의 장(場)을 제공하여 중소기업들의 사업 참가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지 주요 업체들을 초청하여 국내 사업설명회를 마련하고 세미나를 개최하여 참가 희망 기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국내 중소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및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한 컨설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한편,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중국 정부가 필요로 하는 기술적 수요를 파악하고, 제품 및 솔루션의 현지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쏟아야 한다. 이러한 민관의 노력이 어우러질 때, 중국 스마트 시티 시장은 우리 업체에게 진정한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

 

김동선 중소기업연구원 원장(전 중소기업청장)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