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시장 확대를 위한 방안

기술사업화분석실 선임연구원 박 영욱 (Tel: 02-3299-6297 e-mail: ywpark@kisti.re.kr)

1) 제품 개요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건축물 입구 출입문에 장착된 전자식 잠금 및 해제 장치로, 최근 분양되는 아파트에는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품목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형태에 따라 주키와 보조키로 나뉘는데, 주키는 손잡이가 있기 때문에 아파트 현관문에 있는 기존의 기계식 제품을 대체할 수 있지만, 보조키는 손잡이가 없는 문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입력부, 비상키, 비상전원단자, 손잡이 등으로 구성된 외기와 건전지함, 자동 개폐장치, 수동 개폐장치, 손잡이 등으로 구성된 내기로 이루어졌다.

<표 1> 디지털 도어록 구성품

 

 
구분
구성품
설     명
디지털 도어록
외기
(실 외측
장치)
입력부
데드볼트(Dead Bolt) 및 래치볼트(Latch Bolt)를 해제시키기 위한 조작계
비상키
전기 회로계의 고장 등으로 입력부와 비상전원단자가 동작 불능 상태일 때 사용하는 열쇠
비상전원단자
건전지 방전 상태일 때 외부 전원과 연결. 보통 9V 사각 건전지 사용
손잡이
보조키에는 없음
내기
(실 내측 장치)
건전지함
전원 공급 장치. 보통 AA사이즈의 1.5V 건전지 4개 사용
자동 개폐장치
모터나 솔레노이드가 직접적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작동
수동 개폐장치
수동 조작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작동
손잡이
보조키에는 없음

 

 

 
2) 시장 동향 및 예측
아파트에 거주하기를 좋아하고, 빠른 일처리를 선호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디지털 도어록은 당연히 갖춰야할 필수 아이템이 되었다. 그 덕에 국내의 디지털 도어록 시장은 다른 나라보다 빠르게 성장을 하였지만, 높은 보급률(48%, 2010년 가정용 기준)과 건설 경기의 침체는 향후 성장을 더디게 할 전망이다. 국내 시장 규모는 2011년 1,285억 원에서 5년 후 2016년에는 1,664억 원 규모로 연평균 5.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이 ‘Electronic Lock'이라는 제품으로 유통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카드기반 제품이 2011년 21억 달러에서 5년 후 2016년에는 28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하고, 키패드 기반 제품은 7.7억 달러에서 9.7억 달러 규모의 성장이 전망된다. 미국은 테러 위협과 총기 사고의 위험으로 전자출입통제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주거용보다는 산업용이나 공공기관의 수요 비중이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국내 기업이 진출 시에는 현지 보안업체와의 협력이 중요하다.
 
<표 2> 미국의 디지털 도어록 시장규모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연평균
성장률
카드기반
1,975
2,092
2,215
2,346
2,484
2,631
2,786
4.9%
키패드기반
735
770
806
844
883
925
968
3.9%
(합계)
2,710
2,861
3,021
3,189
3,367
3,555
3,754
4.6%

 3) 시장경쟁상황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도어록 시장 1, 2위를 차지하는 기업은 스웨덴의 아싸아블로이(Assa Abloy)와 스위스의 카바(Kaba)다. 두 기업 모두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출입통제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 신흥개발국 중심으로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아싸아블로이는 1994년에 창립되어 지금까지 150개의 기업을 인수했으며, 2012년 매출액은 73억 달러로 이중 22%(16억 달러)가 디지털 도어록 제품에서 발생했다. 아싸아블로이는 2007년 게이트맨으로 잘 알려진 아이레보를 인수했으며, 최근에는 씨스코의 싱가포르 지점 300개 출입문에 솔루션을 제공한 바 있다.

 
 
 
카바는 아싸아블로이보다 규모는 작지만 역사는 150년이나 되는 오래된 기업이다. 전체 매출액은 11억 달러이고, 제품은 열쇠제작기부터 자동 출입시스템까지 다양하다. 카바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도어록은 호텔용으로 Kaba Ilco는 중저가이며, RFID가 내장된 Faflok은 고급형 제품이다.
세계선도 기업들이 다양한 제품 구성을 통해 전자출입통제시스템에 대한 수직계열화를 이룬 반면, 국내 기업은 삼성SNS를 제외하면 주거용 디지털 도어록 제품에 한정된 양상이다. 삼성SNS는 디지털 도어록 시장에서 아이레보에 이어 업계 2위 기업이지만, 향후 디지털 도어록이 홈네트워크와의 접목이 확대된다면 급성장이 예상된다. 삼성SNS는 이미 관련 기술 및 제품에서 5,0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다. 아이레보는 국내 시장을 개척한 선두 기업으로 업계 최초로 TV 광고, 080 무료전화서비스를 시행하여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기업이다. 아이레보의 브랜드인 게이트맨은 디지털 도어록의 일반 명사로 인식돼왔다. 삼성SNS와 아이레보가 국내 시장의 65%를 차지하고, 나머지 35%를 에버넷, 밀레시스텍, 싸이트론, 하이레버, 혜강씨큐리티, 유니코하이테크 등의 20여개 업체가 점유하고 있다. 이들 중소업체들은 가격대비 좋은 품질로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으나, 향후 가격 경쟁이 지속된다면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표 3> 국내 주요기업 현황

기업

매출

시장점유율

브랜드

특징

삼성SNS

540억 원

41%

삼성이지온

삼성그룹 계열사로 통신망 구축 및 홈네트워크 분야 기술 및 제품 보유

아이레보

320억 원

24%

게이트맨

국내선도 기업이자 아싸아블로이 계열사

기타

(에버넷 등)

494억 원

35%

젠시리즈 등

2000년대 창업 또는 디지털 도어록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가격 대비 품질 경쟁력 확보

4) 이슈 주제 : 시장 확대를 위한 방안
디지털 도어록 시장은 아파트를 선호하고, 급한 국민성을 가진 우리나라에는 틈새시장이 되어 2000년대에 빠른 성장을 구가하였다. 그런데, 이런 성장 요인이 지금은 아킬레스건이 되어 성장의 덫이 된 형국이다. 게다가 대기업의 진입, 외국계 기업의 선도는 아무래도 국내 중소기업이 성장하기에는 버거운 시장이 되었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은 중소기업 적합 품목으로 지정되지 않아 정부의 지원책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중소기업 스스로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시장 확대 방법으로 세 가지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홍보를 강화한다. 디지털 도어록이 전자제품이기에 소비자들은 전기충격에 약하거나 특별히 제작된 해정기구에 쉽게 열릴 수 있다는 불안감, 건전지가 방전될 경우 생기는 불편함을 우려한다. 약간의 불편함은 제품의 보안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며, 편리한 키 인증 방식을 겸비한 제품이 있다는 것을 홍보한다면 잠재고객을 끌어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제품의 응용 범위를 확장한다. 이미 유리문과 금고에 적용된 제품이 나온 지 오래다. 가방에 부착되는 제품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태양전지 등 타기술과 융합한다면 더욱 다양한 제품군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해외 시장을 확대한다. 국내 디지털 도어록 기술은 2010년에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국제표준 초안으로 채택될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국내 건설사와 동반진출을 하거나, 현지의 보안 또는 건축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