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옵션 과세 문제 해결돼야 인재 모여… IP금융 관심 가져야

지난 24일(목) 서울 쉐라톤 디큐브시티 6층 그랜드볼룸에서는 제 29회 G밸리 CEO포럼이 열렸다. 특별히 포럼 3주년 기념으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는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이 ‘창조경제시대 제2벤처붐 실현전략(부제:제 1차 벤처붐, 제2차 벤처붐과 창의적 인재양성)’을 주제로 강연을 가졌다. 이른 아침 시간임에도 불구, 300여명의 청중이 찾아 성황을 이룬 이날 포럼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편집자주>

 
먼저 세월호 참사로 고귀한 생명을 잃은 수많은 실종자 가족분들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어떠한 말로도 이분들께 위로가 될 수 없겠지만 분노와 절망을 넘어 이번 사고가 새로운 대한민국이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G밸리가 제2벤처붐의 ‘핵심’
오늘 말씀의 주제는 ‘창조경제 시대 제2벤처붐 실현전략’입니다. 제2벤처붐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이곳 G밸리가 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제2벤처붐을 일으키기 위한 전략을 말씀드리기 전에 먼저 우리나라 벤처의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980년대 초반이 벤처기업 태동기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큐닉스(81년), 미래산업(83년), 비트컴퓨터(83년), 메디슨(85년) 등의 기업이 창업됐습니다. 당시만 해도 벤처기업이 처한 현실은 척박했습니다.자금이나 인력조달,시장개척 등 풀어야 할 숙제들은 많았지만 개별기업들이 헤쳐나가기엔 벅찼습니다. 그래서 여러 기업인들이 힘을 합쳐 벤처기업협회를 95년 출범시키게 됐습니다.

95년 벤처기업협회 창립
벤처기업협회의 출범은 자금과 시장, 인력 등에서 제대로 된 인프라를 구축하게 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듬해 96년에는 벤처의 동반자인 코스닥증권시장이 창립됩니다. 코스닥은 설립 4년 만에 코스피를 추월하며 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을 통해 투자자금의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졌으며 스톡옵션을 통해선 고급인력이 대거 벤처에 유입됐습니다. 창업 및 벤처붐이 일어난 것도 이 때문이었죠.

97년엔 창업자금 지원과 병역특례제 등을 골자로 한 벤처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벤처 압축성장의 길이 만들어졌습니다. 기술거래를 전담하는 한국기술거래소가 2000년 문을 열면서 벤처의 발전은 순탄하게 이어졌습니다. 2008년 기준으로 한국기술거래소는 기술이전 400건, 거래금액 228억원의 실적을 올렸습니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하지만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는 말처럼 2001년부터 벤처업계에 시련기가 닥쳐옵니다. 미국 나스닥시장의 침체는 곧바로 국내의 ‘버블붕괴’로 이어졌습니다. 여기에 2002년 나온 ‘벤처기업 건전화 방안’은 발전하던 벤처업계를 오히려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사자성어를 빌리면 ‘교각살우’라고나 할까요? 급기야 코스닥시장은 2005년 코스피와 통합하게 됐습니다. 여기서 잠깐 지난 18년간 벤처기업의 성과를 보겠습니다. 벤처확인기업 3만5000개에 이들 기업의 평균매출액 80억원을 곱하면 280조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치가 나옵니다. 이는 우리나라 대표기업 삼성전자의 매출액보다 높습니다. 한마디로 벤처가 덩치는 작지만 합하면 우리경제의 든든한 밑받침 역할을 해왔다는 얘기입니다.

박근혜 정부, 제2벤처붐 지원
때마침 박근혜 정부는 침체에 빠진 한국경제의 구원투수로 ‘제2의 벤처붐’을 주창하고 나왔습니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서는 창업육성자금 등으로 4조원을 지원하겠다는 지원책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돈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음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아무리 돈이 많아도 투자할 회사가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가장 시급한 것은 망가진 벤처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입니다.생태계복원과 관련해 4개 부문, 즉 코스닥 독립과 벤처인증제, 주식옵션 그리고 기술거래소에 대해 중점적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이 코스피와 합쳐지면서 벤처산업계의 몸집은 증가했지만 회수시장은 위축되는 이른바 벤처생태계의 왜곡이 발생했습니다. 이뿐만 아닙니다. 투자자의 시장이탈과 우량 중소벤처의 상장기피와 같은 시장 보수화는 더욱 심해졌습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코스닥의 독립이 필수적입니다.

벤처인증제도 복원돼야
아울러 벤처인증제도 복원되어야 합니다. 벤처건전화 정책 이후 벤처인증 패러다임이 기술개발 중심에서 융자보증 중심으로 바뀌었습니다. 쉽게 말해 망하지 않을 기업에 벤처인증을 해준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정책지원이 필요한 벤처기업은 소외되는 현상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래서는 미래가 없습니다. 융자보증에서 기술투자로 바뀌어야 합니다.

우수인재 유치의 주요한 수단이었던 주식옵션의 세금문제도 시급히 해결돼야 할 과제입니다.지난 2006년 행사이익(소득세)의 비과세 특례가 삭제된 것이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실제로 티켓몬스터의 경우 지난 2012년 814억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영업이익도 마이너스 818억원을 기록하는 일이 생겨났습니다. 스톡옵션을 활용하지 못하면서 벤처기업을 선택하는 인재들의 발걸음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기술거래소 복원도 벤처업계의 시급한 현안입니다. 기술거래소는 벤처와 대기업의 중요한 연결고리입니다.기술거래소를 통해 이뤄지는 상생형 M&A야말로 창조경제의 관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상생형 M&A는 창업기업에는 시장을, 선도기업에는 혁신을,그리고 엔젤투자자에게는 회수시장을 가져다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4가지는 벤처2.0을 위해 필수적으로 선행돼야 하는 과제들입니다.이게 이뤄지지 않으면 언발에 오줌누기나 마찬가지입니다. 이와 함께 갈수록 비중이 커지고 있는 IP금융에 대한 관심도 기업의 CEO라면 눈여겨 봐야 할 것입니다.

김재창 기자 changs@gamtantimes.com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