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문제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해결과제 중 하나다.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 중 대학진학률이 가장 높은 나라지만, 고학력 구직자들에겐 마땅한 일자리가 없고 기업에겐 쓸 만한 인재가 없는, 말 그대로 인력 미스매치 현상이 곳곳에 만연해 있기 때문이다.

유례 없는 취업난으로 가장 왕성한 경제활동 시기에 있는 청년들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거나 아예 취업을 포기하는 상황을 보며 일자리 주무부처 기관장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정부는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더 좋고 더 많은 일자리를 하루빨리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정부의 청년 일자리 정책에서 가장 주요한 틀은 청년들이 좀 더 쉽게 더 나은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디딤돌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정부는 산업현장의 인력 미스매치와 청년 취업난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장기적 목표를 가지고 2013년 말부터 독일·스위스의 도제제도를 한국에 맞게 변형시킨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한 바 있다.

우리가 벤치마킹한 독일은 실제로 초등학교 때부터 진로를 탐색하고 중·고등과정을 거쳐 직업교육과 현장훈련을 동시에 받아 궁극적으로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마이스터(장인)가 된다.

지난 2013년 말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도입된 일학습병행제는 8월말 현재 전국적으로 약 8,000개 기업에서 23,000여 명이 훈련에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 관내 에서도 355개 기업에서 약 1,100명이 훈련 중이다.

청년들은 일학습병행제를 통해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 부담 없이 좀 더 빨리 노동시장에 진입해 기업의 유능한 선임자와 장기간 상호작용으로 기업 고유의 숨은 기술을 습득하고 나아가 해당 산업 분야에서 계속적인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경력관리가 이뤄진다.

반면, 기업에서는 비용 등의 문제로 실시하기 어려웠던 기업 고유의 교육 프로그램을 정부가 지원하는 대부분의 비용으로 개발하여 채용된 학습근로자를 기업이 주도해 핵심역량을 가진 인재로 키워냄으로써 직무 몰입도를 제고하고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고용노동부가 기능한국인을 선정해온 지 10년이 지난 현재, 그 수가 110명을 넘었다. 그중 82%는 자신의 기업을 운영하고 있고, 나머지는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의 이사나 공장장으로 재직 중이며 급여도 대부분 연봉 1억원이 넘고 있다.

이들에겐 대학 진학보다 일터를 먼저 선택했다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다.이들 중에는 초등학교만 졸업한 사람이 여섯 명이었고, 아예 학교를 다니지 않은 사람도 네 명이나 있었다는 사실은 아는 이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 사회적 편견과 학력차별을 극복하고 흔들림 없이 한 길을 걸어온 숙련기술인과 열정으로 뭉친 청년구직자가 일학습병행제라는 한 배를 타고 능력중심 사회로 나아가는 행복한 동행을 기대해 본다.

김상수
고용노동부 서울관악지청장

저작권자 © 감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