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왕연중 / 그림 김민재
하나라 때 곤오 씨가 발명
사람이 집을 발명하여 동굴생활을 청산했을 때 가장 큰 문제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와 눈을 가리는 지붕이었다. 처음에는 나무나 풀로 집을 지어 지붕 또한 나무의 잎이나 풀로 해결했다. 그러나 긴 세월이 흐르면서 보다 크고 견고한 집을 지게 되었고, 그런다보니 이에 걸 맞는 지붕재료가 필요했고, 그것이 곧 기와의 발명으로 이어졌다.

기와란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 및 와범 등의 제작 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에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만든 건축부재로써 나무의 잎이나 풀 대신 지붕을 덮는데 쓰인다.

중국의 문헌인 ≪고사고 古史考≫에 ‘하나라 때 곤오 씨가 기와를 만들었다(하시곤오씨작와=夏時昆吾氏作瓦).’라는 옛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약 3천 년 전 주나라 때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3000여 년 전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주시대의 기와가 서주 초기 당시의 도읍지로 추측되는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기와는 건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건물 자체경관을 아름답게 한다. 기와의 사용은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나라에는 기원전 2~1세기 경 도입
우리나라에는 기원전 2~1세기 경 한나라에서 도입되었다. 당시는 시기적으로 낙랑시대였고, 이때 건물에 처음으로 기와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국력이 약하여 궁궐이나 사찰 그리고 일부 상류 계층을 제외하고는 사용할 수 없었고, 이 같은 상황은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초기까지 계속되었다. 한 마디로 도읍지가 아니면 쉽게 구경하기조차 어려웠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도입된 기와는 시대에 따라 발전하였다. 즉, 도자기 기술을 응용하여 양질의 기와를 생산할 수 있었고, 그 디자인은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그 시대 특유의 문화가 반영된 모양의 기와가 개발된 것이다.

처음 낙랑시대에는 한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삼국시대에도 중국의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특유의 기와문화가 엿보인다.

고구려의 기와는 힘차고 날카로우며, 백제는 간소하면서도 부드럽고, 신라는 처음에는 소박하였으나 점차 화려해지고, 고려 시대에는 모양이 다양해졌고, 조선 시대에는 소박하고 단순해졌다.

한편, 기와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로마에도 존재하였으나 동양처럼 널리 보급되고 발전되지는 못했다.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