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전문가들과 워크숍 개최, 문제점 및 대책 마련

한국전력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 정책 대전환을 위한 전력계통 보강계획 수립을 위해 나섰다.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7일 전남 여수에서 최근 정부의 신재생전원 확대 정책과 관련, 향후 전력계통에 예상되는 기술적·정책적 문제점에 대한 토론 및 대책 수립을 위해 산업계와 학계, 전력계통 전문가들을 초청해 워크샵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신재생전원으로 대체하는 에너지정책 대전환을 검토 중이다. 이중 풍력과 태양광발전은 전체 신재생전원 설비용량의 약 80%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더불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일환으로 한전과 ‘장기송변전설비계획’ 마련에 있어 향후 전력계통에 예상되는 문제점 등 제반사행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계통여건에 상관없이 전력계통 신뢰도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계통보강 계획을 준비 중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한국은 지리적으로 비상시 인근 국가의 전력계통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독립계통으로, 신재생전원이 확대될 경우 일사 및 풍향조건 등 기후변화에 따른 신재생전원 발전량 변동 시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Back-up 발전설비나 전기저장장치(ESS) 보강이 필요할 수 있다.

한전은 이번 워크샵에서 2030년 신재생전원 확대에 대비, 전력계통 아젠다(Agenda)를 소개하고 ‘신재생전원 접속을 위한 송변전 접속설비 신설’ 및 ‘신재생전원 확대수용을 위한 설비보강’ 등 미래 전력계통 구성에 대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전원 계통연계 확대를 위해 지난 4월 제도를 개선, 기존 154kV 변전소별 신재생전원 연계용량 한도를 100MW에서 200MW까지 상향했다. 또 신재생전원 확대에 따라 필요할 경우에는 변전소 및 송전선로를 신설, 소규모 신재생 신청건의 무제한 접속에 차질이 없도록 계통보강을 시행하고 있다.

또 장기간이 요구되는 전력계통 보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신재생발전소 입지를 사전예측, 최대한 시기를 맞출 수 있도록 ‘先 전력계통 보강’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2030년 전체 발전량의 20%를 차지할 신재생전원을 전력계통에 수용하기 위해 신재생 출력변동 대응능력이 뛰어난 속응성 전원과 전기저장장치, 유연송전시스템(FACTS) 등 계통안정화 설비를 확대 적용하는 계획도 수립 중에 있다.

다만, 독립계통이나 지역 간 수급불균형, 신재생전원 발전량 예측 불확실 등 일부 계통운영상 예상되는 어려움에 따라 계통계획 및 운영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신뢰도 기준을 만족시키고 안정적 계통운영을 위한 ‘신재생전원 통합감시 운영시스템’을 도입 운영할 예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도 신재생전원 확대 및 대규모 전원 믹스(Mix) 변경 시에도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한 준비사항을 관련 전문가들과 수시로 공유하고, 금번에 수립한 계획 ‘Open Green Grid Plan’에 대해서도 산·학·연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지속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