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가 아직 2년 가까이 남아 있는데도 서서히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예비 후보군과 정당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유권자들의 관심 또한 날카로워지고 있다. 임기 5년의 단임 대통령제 하에서는 집권 3년이 지나면 다음 정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현 정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정권재창출을 위해 다음 대통령 후보를 누구로 할 것인가가 최대의 관심이다. 물론 현 대통령측은 가능한 한 다음 대선후보가 조기에 부각되지 않게 여러 작업들을 진행한다. 정권교체를 바라는 사람들은 누구를 후보로 해야 정권을 잡을 수 있을까 여러 경우의 수를 가지고 가상대결해 본다. 야권 후보들은 갈수록 현 대통령과 각을 세운다. 언론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여론조사로 대선주자들의 지지율을 발표해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려고 애쓴다. 언론이 국회의원 선거보다 대통령 선거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분단상황 속의 대통령제에서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국민 신뢰 얻어야 정권재창출 가능

내일신문은 대선주자들의 단순 지지도보다는 대통령 선출과정의 절차에 따른 예비 대선후보 여론조사를 실시, 보도하고 있다. 단순 지지도 조사는 일종의 인기투표로, 실제 투표와 무관하게 특정후보에 대한 지지의사를 표시할 수 있어 실제 현실을 반영하는 데는 제한적이다. 여권과 야권 후보군을 따로 조사하는 방식의 여론조사는 보다 현실에 충실하고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대통령 선출과정은 우선 먼저 여야 주요 정당의 후보경선에서부터 출발한다.

2011년 내일신문 디오피니언 3월 정례여론조사에 따르면 예상후보 경쟁력은 여권인 한나라당의 박근혜 후보가 61.1%로 2010년 12월 53.0%, 2011년 2월 59.0%에 이어 압도적이다. 2위는 오세훈 후보로 10.9%, 3위는 김문수 후보로 8.6%이다. 반면 범야권 예상후보 경쟁력은 손학규 후보가 33.8%로 2010년 12월 24.0%, 2011년 2월 32.4%에 이어 상승세를 타면서 2위인 유시민 후보와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유시민 후보는 이번 3월 조사에서 13.4%로  2010년 12월 15.7%, 2011년 2월 16.4%보다 하락하고 있다. 3위인 정동영 후보는 12.8%로 2010년 12월 11.4%, 2011년 2월 11.4%보다 조금 올랐다. 그렇지만 범야권에서는 아직 모름과 무응답이 31.1%나 되어 지지율의 변화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정당지지도는 한나라당이 34.3%로 민주당 19.1%보다 15.2%p가 높다. 하지만 무당층이 39.3%로 상당히 높을 뿐 아니라 야권이 분열돼 있는 상황과 여론조사에 대한 기피 등을 고려해야 한다. 자유선진당은 2.6%, 민주노동당 1.3%, 진보신당 1.4%, 국민참여당 1.7% 등이다. 이 또한 분단 아래의 대통령제라는 여건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금의 여론조사가 절대적일 수는 없다. 우리 사회의 변화는 역동적이기 때문이다. 여론조사에 의한 대세론은 역대 선거에서 뒤집혀 온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그렇지만 여론조사는 추세를 반영하고 또 여론조사 발표가 유권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 또한 현실이다. 집권 여당이 정권을 재창출할 수 있는 길은 현 이명박정부가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때 가능하다. 집권 여당과 정부가 물가급등, 전세난, 양극화, 일자리와 같은 국민생활과 직결된 문제를 풀지 못할 때는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역시 경제가 대통령 선거의 최대 변수가 될 수 있다.

민생문제 해결 못하면 정권교체 가능성 높아져

대통령의 권력은 막강하다. 역할은 무소불위에 가깝다. 그래서 자질과 국가경영능력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기 마련이다. 국내총생산(GDP)이 1000조원인데 정부 예산이 300조원이므로 그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민생복지에서부터 안보국방에 이르기까지 국민생활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환율과 금리정책 역시 우리 생활에 밀접하고 일자리 창출과 근로조건 등도 대통령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대통령이 사실상 임명하는 자리는 너무나 많다. 미국의 경우 3000자리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보다 훨씬 많다. 다음 대통령의 역할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남북관계 발전과 국제적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일이다. 이를 이뤄낼 후보가 누구인가, 유권자들의 고민은 시작되고 있다. 

내일신문  장/명/국 대표이사

저작권자 © 감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