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여름인가 보다. 조금만 걸어도 등줄기에 땀이 흐른다.
누구를 만나러 갈까? 즐거움과 이야기가 있는 계곡을 찾아 추억을 꾸려보자.


한반도 지형을 그대로 닮은 선암마을
올림픽대로를 타고 팔당대교를 지나 6번 국도를 타고 강원도 영월로 달려간다. 영월의 동남쪽 김삿갓면에 있는 그 계곡의 이름은 와석계곡, 하지만 ‘김삿갓계곡’으로 불린다.

고려 시대에는 밀주(密州)라 불렀으며, 1698년(숙종 24)부터 행정구역상 하동면이었으나 김삿갓의 묘와 문학관 등을 찾는 사람이 많아지자 영월군은 2009년 10월쯤 김삿갓면으로 행정구역명을 바꾸었다.

돌돌돌 흐르는 계곡물과 울창한 산이 어우러진 강원도의 경치는 참으로 보기 좋다. 게다가 TV의 영향이 얼마나 무서운지 예전에는 물어물어 찾았는데, 이제는 지도와 이정표가 제법 잘되어 있고 김삿갓 관련 조형물과 상징물들이 눈에 띈다.

영월 시내부터 길가에 김삿갓 동상이 있고, 계곡 다리에는 붓 모양이, 나무에는 시구들이 적혀 있다.

그렇게 도착한 계곡 끄트머리쯤에 김삿갓의 무덤이 있다. 한눈에도 소박하기 이를 데 없는 무덤이다. 높이가 두어 자 되어 보이는 묘비가 있는데 ‘蘭皐 金炳淵之墓’라 새겨졌다.

제대로 된 상석과 비석을 갖추지 못하고 큼지막한 자연석을 상석으로, 기다란 돌을 묘비로 삼았다. “엄마! 유명한 사람은 무덤도 크고 화려한 거 아니에요?”

아이의 물음을 뒤로하고 언덕배기에 자리한 김삿갓 무덤 앞에 앉아 아이들과 김삿갓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천하를 떠돌던 방랑 시인 김삿갓의 본명은 김병연(1807~1863). 경기도 양주 땅에서 태어나 황해도 곡산에 잠깐 머물다가 영월로 와서 살았다. 어머니, 형과 근근이 살았는데 문장 솜씨가 뛰어나 주위에서 신동(神童)이라 칭찬이 자자했다 한다.

 

홍경래의 난, 김병연의 인생을 바꾸다
그가 스무 살 되던 해, 영월에서 백일장이 열렸다. 시제는 ‘논정가산 충절사 탄김익순 죄통우천(論鄭嘉山 忠節死 嘆金益淳 罪通于天)’. ‘가산의 충절을 칭찬하고 김익순을 탄핵하라’는 것이었으니 정의감에 불타는 젊은 피는 충절에 대한 찬양을 아끼지 않았고, 김익순의 불충에 망군(忘君), 망친(忘親)의 벌로 만 번 죽어도 마땅하다고 추상같은 질책을 했다. 나무랄 데 없는 내용과 문장으로 김병연은 보기 좋게 급제했다. 

“아빠, 굉장히 똑똑한 사람이네요? 무슨 벼슬을 했어요? 영의정? 좌의정?”

“음, 글쎄…. 급제는 했지만 벼슬을 안 하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시를 지었어. 그래서 방랑 시인이라고 하지. 항상 삿갓을 쓰고 다녔기에 김삿갓이라고도 하지.”

“아니,  왜요? 글 잘쓰고 급제도 했는데…. 아, 암행어사구나!”

암행어사? 어찌 생각하면 세상을 ‘암행’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급제한 뒤 벼슬길에 올라 힘들게 사신 어머님을 봉양할 들뜬 마음으로 기분 좋게 술 한잔하고 돌아온 김병연은 청천벽력 같은 말을 듣는다.

“…우리 가문은 대대로 명문가였고 너는 안동 김씨, 그중에서도 장동(壯洞) 김씨의 후손이다. … 또 …네가 오늘 만고의 역적으로 몰아세우며 탄핵한 익(益)자, 순(淳)자의 선천방어사는 네 할아버지다. 홍경래의 란으로 사형을 당하셨지. 신주는커녕 지방과 축문에도 관직 없는 처사(處士)로 써가며 너희를 속여왔다….” 

 

풍광 좋은 영월의 선돌
세상이 부끄러워 쓴 삿갓
그러니까 15년 전, 김병연이 다섯 살 되던 해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다. 서북 지방(평안도)에 대한 차별에 반발하고 관리들의 수탈과 학정에 저항해 일어났으니, 열흘 만에 청천강 북쪽 지역의 8개 군·현을 장악할 정도로 걷잡을 수가 없었다. 공교롭게도 김병연의 할아버지인 김익순은 그 8개 군·현 가운데 하나인 선천군의 부사 겸 방어사였다. 당시 가산군수 정시(鄭蓍)는 반란군과 용감하게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했으나 선천방어사 김익순은 항복했고, 난이 진압된 후 역적으로 처형당했다. 멸문지화를 당해 집안은 뿔뿔이 흩어지고, 병연은 형과 함께 황해도 곡산에 있는 종의 집에 피해 살다 일곱 살 때 강원도 영월군 삼옥리에 숨어들었으니 아버지와 동생을 잃고 어머니와 형만 남아 화전민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그럼 자기 할아버지를 막 욕해서 상을 탄 거네요!”

비난에 비난을 거듭하던 선천방어사 김익순이 자신의 할아버지라는 기막힌 사실에 김병연은 하늘이 무너지는 듯했다. 자신을 용서할 수 없었던 김병연은 죽을 생각도 하고 울기도 하다가 아내와 낳은 지 얼마 되지 않는 아이, 홀어머니를 뒤로한 채 방랑의 길을 떠났다. 역적의 자손인데다 자신의 조부를 욕하는 글을 지어 상을 탔으니 고개 들어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평생 삿갓을 썼고, 세상 사람들은 그를 ‘김삿갓’이라 불렀다. 그렇게 삼천리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수많은 시를 뿌린 김삿갓은 57세가 되던 봄날, 전라도 동북 땅 적벽강에서 한 많은 세상을 떠났다. 그의 시신은 차남 익균이 거두어 이곳 노루목에 모셨다.

 

엄마, 저 건물은 삿갓 모양이네요?
김삿갓 무덤에서 내려다보이는 계곡 건너편에 김삿갓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난고 김삿갓문학관(033-375-7900, www.ywmuseum.com)이 자리한다. 1층에는 난고 선생의 생애와 발자취를 모은 정암 박영국 선생의 김삿갓 연구 자료가 전시되었다. 1층 영상실에서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관련 자료를 상영해, 파란만장하던 김삿갓의 생애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자연을 벗하며 전국을 주유하다 맘에 맞는 사람들과 시 1천여 편을 쓴 것으로 여겨지지만, 현재는 456편만 전해진다. 시의 소재나 형식이 규범과 탈규범을 넘나들어 한시의 전통적 방식을 거침없이 해체하고, 한시를 음이 아닌 뜻으로 읽게 한다거나 한글을 섞어서 쓰기도 했다. 때문에 김삿갓의 무덤에 자연석으로 만든 상석과 묘비를 세운 것은 아주 적절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난고 김삿갓문학관에서 조선 시대 김삿갓의 시를 만난 후 조선 시대 그림을 보기 위해 계곡 맞은편에 있는 조선민화박물관에 들렀다. 다양한 민화를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큐레이터가 있어 흥미로운 곳이다.

“여러분, 호랑이를 본 적이 있나요?”

“네~”

“어디서 봤어요?”

“동물원에서요!” “TV에서요!”

‘작호도(鵲虎圖)’는 ‘까치와 호랑이 그림’으로 소나무 아래 우스꽝스러운 표정의 호랑이가 있고 소나무 가지 위에 까치 한 쌍이 앉아있다. 까치는 반가운 소식을 알리는 새로, 그 소식을 듣고 히죽 웃는 호랑이가 무섭다기보다는 귀엽다. 잡기를 막아주는 호랑이와 좋은 소식을 전하는 까치 그림은 새해 선물로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혹 이름을 알리기 전 단원 김홍도나 혜원 신윤복의 그림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재미있는 상상을 하며 박물관을 나서니 졸졸졸 계곡에서 야영하는 가족들이 보인다. 매년 8~9월에 박물관 주관 행사로 난고 김삿갓 문화 큰잔치 겸 전국민화공모전을 실시하니 그때 다시 와서 텐트 치고 아이들이 그렇게 원하는 ‘입수’도 해봐야겠다. TV 속 여배우들처럼.


글·사진 이동미(여행 작가)

저작권자 © 감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