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개선, G밸리 경쟁력 강화 선순환 구조의 발판
"지자체와 유관기관협력, G밸리 근로자 복지 확대 필요"

 
“G밸리에는 소규모 사업장이 많아 기업의 힘만으로 근로자 복지를 향상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물가 상승에 맞춰 임금을 올리는 데 부담을 느끼는 기업이 많다. 근로자 복지를 기업에 일임하기보다 지자체와 유관기관이 G밸리의 복지 인프라를 넓혀 근로자 복지의 간접적인 상승효과를 도모하는 게 중요하다. 도시형 생활주택을 건립해 저렴한 가격에 분양하고, 보육시설을 늘이는 등 근로자의 가계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노총 구로금천지부 최원영 의장은 근로자의 복자 향상이 G밸리 경제 활성화의 중심축이라고 말한다. 복지 향상을 통해 근로자의 의욕을 고취해야 경제가 지속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하지만 영세 사업장이 많은 곳인 만큼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기업의 임금 부담은 줄이고 근로자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로구청, 금천구청,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경영자협의회, 서울특별시 근로청소년복지관 등과 협력해 G밸리 복지 인프라 확대를 추진 중이다.

최원영 의장은 “근로 복지 향상을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상생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지자체, 유관기관과 협력해 기업에 부담이 덜 되면서 근로자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도시형 생활주택 건립 추진
서울시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서울 지역 총 351만 가구 중 83만 가구가 1인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4가구 중 1가구가 혼자 사는 가구인 셈이다. 특히 G밸리는 근로자 수만 13만명에 육박하고 이 중 70%는 2, 30대 젊은 층이기 때문에 타 지역에 비해 1인 가구의 주거난이 심각하다.

최원영 의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경영자협의회, 서울특별시 근로청소년복지관 등과 협력해 도시형 생활주택 건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건립되기 시작한 주거 형태로, 국민주택규모(1세대당 주거전용 면적 85m² 이하)에 해당하는 주택을 일컫는다. 현재 서울특별시 근로청소년복지관이 운영 중인 여성 전용 근로자아파트 자리에 고층건물 신축을 논의 중이다. 조례를 개정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근로자도 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최원영 의장은 “각 기업에 수요 파악을 해 2천 세대 이상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도시형 생활주택이 건립되면 G밸리 근로자의 주거 안정뿐만 아니라 기업의 인력 수급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육시설 인프라는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노력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현재 G밸리내 보육시설은 4곳이다. 1단지 한국산업단지공단 별관 2층에 있는 햇님어린이집과 2단지 근로복지공단이 운영하는 모아레어린이집, 금천구청과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최근 개원한 구립 아이뜰어린이집, 3단지 LG전자 직장보육시설 등이다. 이 외에도 4개의 민간보육시설과 직장보육시설 설립이 추진 중이다.

최원영 의장은 “보육문제는 여성의 경제활동을 저하해 내수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며 “G밸리에 보육시설이 확대되는 추세인 만큼 인력수급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G밸리의 브랜드 가치 높여야
“G밸리는 아직 회색빛 구로공단의 이미지가 남아 있어 고급 인력이 잘 오려 하지 않는다. 복지 인프라 확대를 비롯해 교통 인프라 개선, 문화 콘텐츠 확대 등을 통해 G밸리를 일하기 좋은 곳, 일하고 싶은 곳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원영 의장은 G밸리가 일하는 장소만 빼곡히 들어서 있다고 지적한다. 지식산업센터만 빼곡하게 밀집해 있어 근무여건이 열악하다는 인상을 주고 근로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끌어내는 환경적 요소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G밸리의 고질적인 교통 정체와 문화 인프라 부족도 G밸리의 도시 브랜드를 낮추는 요인으로 꼽았다. 과거 구로공단이 2000년대에 들어서며 첨단IT도시로 발돋움하고, 근로자 수가 13만명에 육박하는 데 비해 기반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

최원영 의장은 “최근 패션-IT문화존 조성, 국철 경부선 구간 지하화, 서울디지털3단지-두산길 간 지하차도 건설, 가리봉재정비촉진지구 개발사업 등 다양한 기반 인프라 개선사업이 추진 중”이라며 “G밸리의 기반 인프라 개선을 위해 지자체, 유관기관과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문화 콘텐츠발굴을 위해서는 유관기관과 문화 콘텐츠를 통한 기부문화 확산 방안을 모색 중이다. G밸리만의 특색 있는 문화를 만들어 G밸리를 상품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문화를 통해서도 국내외에 홍보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할 계획인 것.

아울러 대기업을 적극 유치해 대·중소기업간 밸류 체인을 구성하고 협력 네트워크를 만들어 동반성장하는 방안을 언급했다. 대·중소기업간 컨소시엄으로 대기업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대·중소기업 동반 성장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사업장의 경쟁력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원영 의장은 “G밸리의 기반 인프라가 개선되면 근무여건 개선과 더불어 G밸리의 이미지도 쇄신돼 인력 수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경제가 성장해야 근로자의 근무 여건이나 복지 수준 등도 향상될 수 있는 만큼 기업의 발전, 더 나아가 G밸리 경쟁력 강화의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혜진 기자 fri@gamtantimes.com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