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피 현상 여전 … 10년만에 청년벤처 CEO 비중 31.8% 하락
중기청 ‘청년창업사관학교’ 개교 … 능력있는 창업가 육성 나서

‘청년실업’ ‘일자리창출’은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숙제다. 정부도 이 문제를 풀기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경기와 내수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청년실업’과 ‘일자리창출’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활성화’을 꼽고 있다. 특히 청년창업을 통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창업만이 일자리를 만들어 고용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내일신문은 ‘청년창업’ 실태와 지원책을 4회에 걸쳐 연재 보도한다.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경제가 ‘고용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장기불황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사회에 창업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도 한국경제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 창업 실패에 두려움 등으로 청년창업과 첨단·고기술 창업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전체 CEO에서 20˜30대 청년벤처CEO 비중은 2001년 50.2%에서 2011년 7월 현재 18.4%로 줄었다. 무려 31.8%포인트가 하락했다.

전자부품 광학기기 의약품 화학 전기변환장치 등 첨단·고기술 제조업 창업의 경우 2000년 1만407개에서 2009년 5471개로 절반가량이 줄었다.

청년층의 창업이 줄어든 것은 도전정신이 위축된 탓이다. 한국은행이 조사해 발표한 기업가정신 지수는 2000년 53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엔 18로 추락했다.

벤처 1세대들은 “여전히 사회전반에 기업가정신이 되살아나지 않고 있고, 청년들은 취업에 몰두할 뿐 창업을 기피하는 분위기”라며 우려했다.


 
◆기업에 젊은피 수혈 없어 = 젊은피 수혈이 없다보니 풀뿌리 경제의 기둥인 중소기업 CEO 연령이 높아지고 있다.

1960〜1970년대 고도성장을 견인해 온 1세대 창업 CEO의 고령화 문제가 최근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다. 중소기업 경영자 평균 연령이 1993년 48.2세에서 2009년 50.2세로 늘었다.

중소기업 경영자중 60세 이상 비중이 1993년 10.6%에서 2007년에는 12.4%로 확대됐다. 한국경제의 성장 추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는 근거다.

또한 ‘고용없는 성장’ 지속으로 청년층 실업문제가 심각하다. 청년층 창업활성화를 통한 우리 경제 생태계 회복 및 일자리 창출이 국가적 중요 과제로 인식하는 이유다.

지난해 국내경기가 일부 회복되면서 전체 취업자수는 42만명 증가했지만 청년(15~29세) 취업자는 4만명 줄었다.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전체 취업자수는 2343만명에서 2424만명으로 81만명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청년취업자는 420만명에서 387만명으로 33만명이나 감소했다.

문제는 ‘청년고용률’이 나빠지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청년 고용률은 2004년 45.1%에서 지난해 40.5%로 계속 하락 추세에 있다. 청년 실업률은 2011년 현재 7.6%로 전체 실업률 3.4%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현대경제연구소는 청년 실업률이 높은 이유로 대졸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졸자의 취업률은 부진하고 대기업의 좋은 일자리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를 지적했다.

정부와 전문가, 기업인들은 한결같이 “창업 기피현상이 지속되고,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한다면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을뿐더러 국가경쟁력도 떨어진다”고 걱정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유일한 대안은 ‘창업’이라는 것이다.

 

◆창업열풍 되살기에 16조 투입 =따라서 ‘창업’은 올해 정부 핵심정책이다. 중소기업청 뿐만아니라 전 부처가 창업지원 정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올해 창업열풍을 되살리기 위해 16조3000억원 가량을 투입하기로 했다. 지난해보다 9000억원이 늘어난 규모로 벤처붐을 다시 일으키겠다는 계획이다. 이중 청년일자리 3만개 만들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중에서 눈길을 끄는 제도는 올해 신설된 13000억원 가량의 청년전용창업자금이다. 이중 500억원은 실패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융자상환금 자금이다. 즉 정부지원금을 받아 사업하다가 실패하더라도 평가를 통해 탕감해주는 제도다.

특히 청년창업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는 지난해 3월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열었다. 청년층의 기술창업을 활성화 시키고, 더불어 이를 통한 청년의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CEO의 고령화 문제 해소를 위한 준비된 청년창업가를 육성한다는 목표다.

중소기업청 서승원 벤처창업국장은 “창업 초기기업 일수록 부족한 자금, 불충분한 정보와 취약한 마케팅 능력, 그리고 높은 불확실성 등으로 큰 어려움 상존한다”면서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창업초기 기업에 대해 자금·교육·코칭·판로 등을 집중 연계지원을 통해 효율적인 창업 성공을 유도하고 있는 선진국의 사례를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남민우 벤처기업협회장(다산네트웍스 대표)은 ‘청년창업 활성화’와 관련해 “생계형 창업에 매달려봤자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뛰어난 기업이 몇 군데나 나올 수 있겠는가”라며 “똑똑한 창업자를 양성해 ‘창업의 질’을 올리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