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후폭풍, 10명중 4명 ‘놀아’, 취업자도 대부분 서비스업에 몰려

경기 침체의 후폭풍이 고용 취약층인 청년들을 강타하고 있다. 

일하지도, 일자리를 구하지도 않은 채 고용시장 밖을 맴도는 20대 비율이 거의 2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20대 연령층의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은 작년 같은 달보다 0.7%포인트나 오른 38.4%였다. 경제활동인구 조사를 구직기간 4주 기준으로 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 구직기간 1주 기준으로는 38.7%로 1988년 2월(38.7%) 이후 24년 7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20대 비경제활동 인구(이하 구직기간 4주 기준)는 9월에 238만3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만6000명 늘었다. 8월에 7만5000명 증가하며 17개월간의 감소세를 마감한 데 이은 것이다.
 
비경제활동 비율은 해당 연령대 인구 중 통학(학생)이나 취업준비, 육아, 가사, 쉬었음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의 비중이다. 100에서 경제활동(취업자+실업자) 참가율을 뺀 수치와 같다.
이 비율은 9월 기준으로 2007년 36.5%였으나 세계 금융위기가 불거진 2008년 37.3%로 올라서고 나서 2009년 37.4%, 2010년 37.8%, 2011년 37.7% 등으로 줄지 않아 경기 회복에도 개선되지 않았다.
 
20대 후반의 비경 비율은 작년 9월 25.1%에서 지난 9월 26.9%로 무려 1.8%포인트 뛰어오르며 3개월째 늘었다. 20대 초반이 같은 시기 54.3%에서 52.1%로 2.2%포인트나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뤄졌다. 
20대는 국내 고용시장에서 가장 취약한 연령대다. 경기 후행적인 고용시장도 청년층을 시작으로 유럽 재정위기의 영향권에 들었음을 보여준다. 기업도 신규 채용을 늘릴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불황의 장기화로 인력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곳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그나마 취업에 성공한 청년의 일자리도 그다지 좋아 보이진 않는다. 
 
한국고용정보원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것을 보면 9월 20대 취업자 가운데 전문가ㆍ관련종사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3.8%, 사무종사자는 7.4%, 관리자는 17.1% 감소했다. 이에 반해 서비스 종사자(10.4%), 판매종사자(5.4%), 농림어업숙련종사자(83.4%)는 크게 늘었다. 
 
관리자와 농림어업종사자는 규모 자체가 작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화이트칼라 일자리가 줄고 상대적으로 질이 떨어지는 일자리가 늘어난 모습이 뚜렷하다.
 
이런 흐름은 한국경제의 일자리 창출력 저하, 청년층의 학력 인플레이션, 기업의 경력직 선호 추세 등 20대 고용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여전한 가운데 경기 요인까지 가세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내일신문 안찬수 박준규 기자
khaein@naeil.com
저작권자 © 넥스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