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BD ; Bio-Diesel)은 폐식용유나 팜유 등의 식물성 기름에 촉매반응을 일으켜 디젤과 거의 비슷한 성질을 보이게 만든 기름을 뜻한다. 출력이 조금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경유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은 신재생 에너지로 대기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인 경유를 대체함으로 바이오디젤 사용에 따른 대기질 개선은 물론, 순수 바이오디젤의 경우에 PM, THC, CO, SOx 등 대기오염물질, 지구온난화 가스인 CO2, 벤젠 등 독성물질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유럽, 바이오디젤 전 세계 생산량 61% 차지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바이오디젤을 보급하기 시작했다. 세계 바이오디젤 생산량은 2002년 1.4백만㎘, 2004년 2.3백만㎘, 2006년 6.7백만㎘, 2008년 9.3백만㎘로 크게 성장했다. 세계 바이오디젤시장은 유럽이 전 세계 생산량의 61%를 차지하며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1970년대 말부터 바이오디젤에 대한 연구가 시작돼 2008년 기준으로 유럽의 수송용 연료 총 소비량 중 3.3%를 바이오연료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바이오디젤의 비중은 약 79%에 이른다. EU는 바이오연료의 비중을 2020년까지 10%로 확대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보급 활성화를 위해 2007년 9월‘제1차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계획’을 수립해 정부차원의 지원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경유의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은 2007년부터 매년 0.5%씩 상향조정해 2010년부터 2.0%를 경유에 혼합해 보급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디젤 보급촉진을 위해 유류세를 면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바이오디젤 시장규모는 2002년-2005년의 시범보급 기간을 거쳐,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해 2009년 292,411㎘, 2010년 400,000㎘(매출기준 5,600억원, 1,400천원/㎘ 기준)로 추정되고, 2016년 1,000,000㎘, 2020년 1,400,000㎘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바이오디젤 시장 ‘수급 불균형 상태’
국내 바이오디젤의 판매는 주로 정유사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정유사는 생산업체로부터 바이오디젤 원액(BD100)을 공급받아 경유와 혼합한 후 일반 주요소에서 판매(BD5)한다.

하지만 각 정유사들의 전체 매출에서 바이오디젤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미미한 편이다. 때문에 정유사들은 바이오디젤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바이오디젤 활성화 정책에 의한 보급량 증가에 따라 생산참여 업체도 증가해 2010년 5월에는 23개 업체가 제조업 등록해, 생산능력은 1,100,000㎘로 전체 가동률이 50% 미만의 수급 불균형 상태가 발생했다.

 과다경쟁과 원료 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가 바이오디젤 업체의 부실화를 초래해 2010년 현재 정유사 납품 업체는 SK케미칼, 애경유화, JC케미칼, BDK, 단석 산업, 엠에너지, 에코솔루션 등 7개사에 불과한 실정이다.

상용화가 본격화된 2007년 시장이 확대되면서 초기시장을 주도했던 중소기업 이외에도 SK케미칼, 애경유화 등 자금력을 지닌 대기업들이 진입하면서 시장 내 경쟁 강도는 더 높아지고 있다.

 

의무혼합제도, 시장 확대 위한 필수 요소 
바이오디젤 보급에 있어 단기적으로 최대의 관건은 면세제도인데, 면세 중단 시 바이오디젤은 가격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한시적인 면세제도에 의한 보급은 보급 확대에 따른 재정 부담을 유발한다. 의무혼합제도를 도입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사업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세계 각국들은 보급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으로 면세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했으나 정부 재정 부담으로 미국, 영국, 독일 등 의무혼합제도 도입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은 2007년, 독일은 2007년, 영국은 2008년부터 수송용 화석연료 공급업자를 대상으로 한 의무혼합 제도를 시행 중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2010년 12월 30일,‘ 제2차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계획’을 통해, 경유의 바이오디젤 혼합 비율은 현재의 2.0%를 당분간 유지하고 의무혼합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준비 중에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의무 사용제가 도입될 경우 바이오디젤의 혼합 비율이 두 자리 수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향후 바이오디젤의 시장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감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